이재균은 현대 사회의 시스템 속에서 발생하는 보편적 역설에 주목한다. 그의 작업은 패러다임이 초래하는 복잡한 긴장감에 의해 개인이 묵인하거나 무감각해진 것을 다시 깨우는데 초점을 둔다. 이는 특정한 감정을 투영하는 행위로서 운동성을 강요하거나 사회적, 윤리적 정답을 제시하기 위함이 아니라, 오히려 사건의 복잡한 구조를 이미지로 드러내어 우리 스스로 질문하고 성찰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그의 작업은 잊혀지기 쉬운 상징과 지나치기 쉬운 맥락을 재구성하여 익숙한 이미지 속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는데 중점을 둔다.
그는 직관과 호기심이 결합된 출발점을 작업의 기초로 삼는다. 시대를 관통하는 상징적이고 논쟁적인 사건들을 관찰자로서 포착하고, 이를 치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사건을 구성하는 본질적 속성을 데이터화한다. 단순히 정보 수집 뿐 아니라, 해체-재구성 과정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구축한다. 그에게 사진은 현상의 단면을 포착하는 동시에, 이를 해체하고 재배열할 수 있는 강력한 가능성을 가진 매체이다. 사건이 내포하는 다양한 메타포에 따라 실험적 표현 방식과 사진적 서사를 통해 시각적 탐구를 이어간다.
그의 작업은 <인간오류보고서>라는 제목의 큰 틀 아래에서 현대 지각의 전형성과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노 네임드>, <무기력한 경관은 해괴한 짐승을 그린다>, <뉴스페이스 스펙터클>, <뉴클리어 프로젝트> 등의 시리즈로 제작되었다. 또한 이재균의 작품은 6회의 개인전과 토탈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등 여러 단체전에 전시되었다.
Lee Jaekyun
born in 1995, Korea
works based in Busan, Korea
e-mail jk3029zxcv@naver.com
mobile +82 10 4750 2762
instagram @pilfeel
Lee Jaekyun focuses on the universal paradoxes that arise within modern societal systems. His work aims to illuminate the complex tensions created by these mechanisms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on individuals, often ignored or numbed. It does not seek to project specific emotions or impose moral or social conclusions. Instead, it emphasizes revealing the intricate structures of events through imagery, encouraging viewers to question and reflect for themselves. His work reconstructs overlooked symbols and easily dismissed contexts, uncovering hidden and uncomfortable truths within familiar visuals.
His process begins with a combination of intuition and curiosity. He observes and captures symbolic and controversial events that define the times, conducting meticulous research to analyze and transform their essential elements into structured data. Beyond merely gathering information, he engages in a process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o establish new perspectives. For Lee, photography is a medium with immense potential—not only to capture fragments of reality but also to dismantle and reassemble them. Drawing on the diverse metaphors embedded in events, he employs multifaceted approaches and experimental narratives to further his visual exploration.
These works are unified under the overarching framework titled The “Human Error Report” and are developed through series such as ‘No Named (2014–2015)’, ‘The Weak Landscape Hides a Grotesque Beast (2018–2022)’, ‘Newspace Spectacles (2022–2024)’, and ‘Nuclear Project (2025–)’. These series probe the typologies and mechanisms of contemporary perception. Lee’s works have been featured in six solo exhibitions and numerous group exhibitions, including those at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Ulsan Art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