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 works(2022-)



      ‘우주 작업’은 우주적 상상력과 현실적 기술 구현 사이를 탐구하는 사진 기록이다. 이 작업은 한국 내 우주와 관련된 장소를 기록하며, 과학적 발전과 문화적 상상력이 공존하는 풍경을 탐색한다. 단순히 우주의 표면을 재현하는 것을 넘어, 이미지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담론을 이끌어낸다.

      우주의 이미지는 기술적 진보를 넘어선 영상적 서사를 통해 우리를 그 너머의 세계로 이끈다. 대중은 ‘우주에 갈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서 ‘우주에서 무엇을 하고 살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이동하며, 우주 이미지가 가진 상상력의 힘을 확인한다. 이 프로젝트는 그러한 질문들 속에서 우주의 실질적이고 정서적인 가능성을 사진적으로 해석한다.

      작업은 한국이 유지하고 있는 국가 주도형 우주 산업(올드 스페이스)의 맥락에서 현실과 허구, 가능성과 유보의 경계에서 우주 이미지를 수집한다. 작업의 중심을 산업적 풍경과 기술적 맥락에 두고 이를 사진의 기술적 완성도와 결합하여 구성한다. 한국의 우주 이미지는 이상향의 소비를 넘어 기술적 진보와 사회적 담론의 공간으로 자리 잡는다. ‘우주 작업’은 대중에게 우주 산업이 열광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발자취임을 유도한다.


      The works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cosmic imagination and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through photographic documentation. This work captures locations in Korea related to space, investigating landscapes where scientific advancement and cultural imagination coexist. It goes beyond merely reproducing the surface of space, aiming to uncover new possibilities and discourse within the images.

      Images of space transcend technological progress, guiding us toward worlds beyond through visual narratives. The public shifts from asking, “Can we go to space?” to “What will we do and how will we live in space?” This shift highlights the power of imagination embodied in space imagery. This project interprets the tangible and emotional potential of space through photography, addressing such questions.

      The work situates itself within the context of Korea's state-led space industry (Old Space), navigat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fiction, possibility and postponement, to gather images of space. By focusing on industrial landscapes and technological frameworks, it combines these elements with the technical precision of photography to create its compositions. Korea's space imagery moves beyond mere consumption of utopian ideals, becoming a space for technological progress and social discourse. This works guides the public to view the space industry not as mere spectacle but as a footprint of a new paradigm.